이전에 돌아보았던 OSI 7 Layer의 L2(Data Link Layer)에 좀 더 깊게 정리해본다.
Data Link Layer
데이터 링크 계층은 인접한 네트워크 노드끼리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과 절차를 제공하는 계층으로, 신뢰성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는 계층이다. 이전에 이야기 했던 것 처럼 이 계층에서는 MAC 주로를 식별자로 가진다.
MAC?
MAC은 Media Access Control의 약자로 NIC에 할당된 물리적
고유한 식별 주소이다. 이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자
- 크기 MAC은 48bit(6byte)의 크기를 가지고 있다.
- 표현 48bit를 16진수로 표현한다. ex)00:1A:2B:3C:4D:5E
- 구조 앞 24비트(제조사 식별 코드) + 뒤 24비트(제조사가 부여한 교유 번호)로 이루어져있다.
- 특징
- 고유성: 중복되지 않는다.
- 영구성: 하드웨어에 고정된다.
- 용도
- LAN 내의 장비 식별
- 스위치의 MAC 주소 테이블 구성
- ARP 프로토콜에서 IP-MAC 매핑
- 네트워크 보안 필터링 요약하자면 MAC은 Data Link Layer에서 사용되는 NIC에 할당되는 고유한 주소로 하드웨어에 고정된 주소로 스위치에서 MAC을 통해 장비를 식별할 수 있다.
그렇다면 L2의 주요기능에는 무엇이 있을까?
주요기능
- 프레임화(Framing)
주로 네트워크를 이야기 할때
패킷
과프레임
이라는 단어를 많이 사용하곤 하는데 L2계층에서 이루어지는 통신에서는 프레임 단위로 이루어진다. 프레임은 최대 1518 bytes 의 크기를 가지고 목적지 주소, 출발지 주소, type, Data, FCS(프레임의 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오류 검사 코드)를 포함한다. 아래의 그림을 참고하자. - 주소지정(Addressing) MAC 주소 기반으로 통신을 지원한다. 예를 들어 내부망에 있는 스위치는 LAN 내부에 있는 장치들의 MAC 주소를 저장해놓은 MAC address table을 통해 프레임을 전달한다.
- 오류 제어(Error Control) 전송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검출하고 수정한다. 이에 여러 종류와 방식이 있는데 나중에 좀 더 자세하게 다루어보도록 하자.
- 흐름 제어(Flow Control) 데이터를 보내는 속도를 수신자가 처리할 수 있는 속도로 전송시켜주는 기능으로 여기에도 여러가지 방식이 있다. 이 또한 다음 포스트에서 정리해보겠다.
L2 장치들
이러한 기능들을 지원해주기 위해서 L2에서는 여러가지 장치들이 존재한다. 이러한 장치들에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자
- NIC(Network Interface Card) 물리적인 네트워크 연결을 담당하는 H/W로 고유한 MAC 주소를 가지고 있다. 데이터 프레임의 송수신을 담당하는 장치
- L2 Access switch 엔드포인트 장비를 직접 연결한다. MAC 주소를 학습하고 필터링함으로써 통신을 지원하는 장치
- L2 Distribution switch Access 스위치들이 연결되는 스위치로 고성능의 스위칭을 위한 장치이다. 대규모의 MAC 주소 처리 기능을 가지고 있다.
이렇게 L2에서 어떤일이 일어나는 지와 MAC이라는 식별자가 어떻게 이루어져있는지 마지막으로 L2에서 사용되는 H/W 장치들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.
Reference
널널한 개발자 - 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
Data-Link-Layer 위키
프레임과 패킷 velog
댓글남기기